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에어컨 전기세 줄이는 법(전력소비량 계산방법, 누진세)

by 1분생활건강이슈 2023. 8. 8.

에어컨 전기세 줄이는 법, 전력소비량 계산방법, 누진세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무더운 날씨에 에어컨을 하루 종일 틀었다가는 요금폭탄을 맞을까봐 겁이나서 최대한 전기세를 아끼기 위해 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에어컨을 사용하면서 효율적으로 전기세를 절약하는 방법을 사용한다면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에어컨 전력소비량 계산방법, 누진세

에어컨 모델명 + 냉방효율(W/W) = 월간 예상전기료

1.1 에어컨 전력소비량 계산방법

에어컨 모델명 + 냉방효율(W/W) = 월간 예상전기료 (단위:원) 입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 AF16M6476LZK 의 경우 냉방효율이 5.7 W/W 이므로 월간 예상전기료는 약 6만원입니다.

 

 

1.2 누진세 개념

누진세는 쉽게 말해 가정용 전기에만 적용되는 세금이에요. 1단계에서는 kWh 당 93.3원 이지만 2단계부터는 187.9원으로 확 뛰는걸 알 수 있죠. 따라서 우리집 한달 총사용량이 300kWh 이하라면 괜찮지만 400kWh 이상이라면 주의해야 합니다.

 

 

1.3 누진세 구간별 금액계산하기

한국전력공사 홈페이지

누진제는 사용량 증가에 따른 단가가 적용되는 요금입니다. 현재 200kWh단위로 3단계, 최저와 최고간의 누진율은 2.7배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타계절에 월 300kWh를 사용한 가정은 처음 200kWh에 대해서는 kWh당 120.0원이 적용되고, 나머지 100kWh에 대해서는 214.6원이 각각 적용돼 총 45,460원의 전력량요금이 부과됩니다.

 

2. 에어컨 전기세 절약하는 방법

2.1 에어컨 실외기 온도 낮추기

실외기 주변에 장애물이 있다면 치워주시고 그늘막을 만들어 주세요. 그리고 바람이 통하게 창문을 열어주면 좋아요. 이렇게 하면 실내온도 상승을 막아주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좋아져요.

 

 

2.2 필터 청소하기

보통 필터는 물로만 세척해도 충분하지만 냄새가 난다면 중성세제를 푼 미지근한 물에 담가두었다가 솔로 살살 문질러 씻어주시면 됩니다. 이때 물기를 완전히 제거해서 다시 끼워주셔야 곰팡이가 생기지 않아요.

 

2.3 처음 켤 때 강풍으로 설정하기

실내 희망온도를 25도로 맞춰놓고 처음 가동시 강풍으로 틀어놓으면 빠르게 시원해집니다. 이후 원하는 온도로 낮춰 유지하면 되는데요, 이 과정에서 선풍기와 함께 사용하면 훨씬 빨리 시원해 질 수 있어요.

 

2.4 희망온도는 26-28도로 맞추기

일반적으로 24도나 27도 사이면 적당한데요, 28도까지는 괜찮습니다. 다만 29도 부터는 약간 더워질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2.5 껐다 켰다 하지 않기

에어컨을 껐다가 켜면 오히려 전력소모가 많아집니다. 계속 켜두는것이 경제적이고 건강에도 좋습니다.

 

2.6 선풍기와 함께 사용하기

앞서 말씀드린 내용이네요. 같이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랍니다.

 

2.7 제습기능 활용하기

습도가 높으면 체감온도가 높아집니다. 제습기능을 이용하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습도가 낮아지면서 자연스럽게 불쾌지수도 낮아져요.

 

2.8 에너지소비효율등급 높은 제품 고르기

마지막으로 소개해드릴 정보는 에너지소비효율등급입니다. 등급이 높을수록 연간 전기요금이 저렴해져요. 특히 여름철 같은 경우 자주 사용하다보니 아무래도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는데요, 이왕이면 좋은 제품을 구입하셔서 알뜰하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댓글